로봇기술개발현황로봇산업과 로봇문화를 선도하는 경남 로봇산업 진흥기관
[2021] [우수성과] 3D 디지털트윈 시스템 구축을 위한 Lidarscan과 사진촬영이 가능한 드론 개발
과제내용
-
- 수행기업
- 코리아드론(주)
-
- 대표자
- 진종규
-
- 개발목표
-
- 정성적목표
- 도심 경로 비행 : 도시지역 내 드론 운용 안전성 제고로 인해 관련 사업 확장성에 기여
3D 데이터 취득 : 자동 항공촬영 시스템 적용으로 공간정보 취득 정밀도 제고
- 정량적목표
- Lidar 시스템 설계/개발, 드론 개조, 자율비행 SW 개발, 도심 경로 비행 성공률(30회, 85%), 장애물 인식 비행정지 (50회, 90%), 3D 공간정보 취득(4식)
-
- 개발내용
구분
개발내용
성과지표 도심 경로 비행
- 도심지역 비행을 위한 기체 제작 (완료)
- 도심지역 내 저고도 비행을 위해 Lidar 장착 (완료)
- 안정성 확보를 위한 비행 (완료)
비행안전성인증 및 KC인증 획득, 항공안전기술원 비행테스트 완 3D 데이터 취득
- 로봇랜드 시설물 촬영 (완료)
- 로봇랜드 촬영물 3D데이터로 변경 (완료)
- 3D데이터를 활용하여 콘텐츠 제작 (완료)
- 자동 항공촬영 시스템 적용으로 공간정보 취득 및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작 완료
- 3D 공간정보 데이터 취득을 위한 드론 활용도 제고
구분
개발내용
Lidar 시스템 설계/개발
- 제품 설계 (완료)
- 200m내 장애물 인식 (완료)
- Lidar데이터 FC전송 (완료)
- Lidar데이터를 이용하여 모터제어 (완료)
드론 개조
- 제품 제작을 위한 재료 및 기자재 구입, 입고 검사 (완료)
- 임무장비 장착을 위한 개조 (완료)
- 제품 테스트 (완료)
자율비행 SW 개발
- Lidar와 FC간의 연결 (완료)
- 자율비행 제어를 위한 모바일 제어 시스템 (프로토타입 완료)
도심 경로 비행 성공률
- 수동 경로 비행 성공 (완료)
- 자동 경로 비행 성공 (완료)
장애물 인식 비행정지
- 장애물 감지 비행정지 44회/50회 성공 (테스트 완료)
3D 공간정보 취득
- 로봇랜드 관련시설물 및 환경 3D공간정보 취득 (완료)
-
- 예상파급효과
○ 산업적 측면
- 드론이 가지는 접근성, 신속성,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은 다양한 산업 분야로 적용 및 확대가 필연적임
- 특히 AI와 결합한 드론 및 관련 솔루션은 개인 소비자 시장과는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
- 소형 드론의 경우 이륙 하중과 배터리 용량의 한계로 임무 제어가 가능한 AI의 범위와 수준에 한계가 존재하였지만 5G 통신망의 초저지연, 초광대역 특성을 이용하여 한계 극복
- 많은 계산량이 요구되는 고품질의 영상, 센서 데이터에 대한 AI 분석은 5G 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서버에 전송하여 처리하고 그 결과를 드론을 전송해 자율비행과 최소한의 상황 인지에 필요한 AI 기능을 수행
○ 지역경제 측면
- 도심에서의 안정적인 비가시권 원격제어가 가능해짐으로써 향후 국토의 디지털트윈 구축사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발생하는 경제적 비용 절감
- 향후 스마트시티 및 자율주행시스템을 도심에 구축하는 과정에 필요한 광 범위한 정보의 수집에 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배경을 마련함으로써 관련 신규 일자리 창출
- 무인체와 비접촉 센싱을 활용한 주기적/자동적인 데이터 수집을 통해 높은 신뢰도의 3D 데이터 정보 획득
- 카메라 비전센서와 Lidar 센서를 장착한 드론은 기존의 드론에 비해 자율 촬영, 감시 ,점검, 데이터수집 등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어 시설물 안전점검, 국방, 교통, 국토정보, 스마트 건설 시스템에서 활용 가치가 큼
-
- 특이사항